초월명상은 탁월한 효과가 있는 명상일 뿐만 아니라 아주 권위 있는 연구 조사들을 통해 이를 입증했다는 점이 특별합니다.
오늘날은 누구라도 자신이 증명하고 싶은 것을 조사하여 증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계에는 과학적 조사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네 기준이 있습니다. 초월명상 연구는 일반적으로 이 모든 네 기준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얻고 있습니다.
1. 연구 그 자체의 품질
2. 독립적 연구들에 의한 동일한 결과 확인
3. 과학 학술지에 발표
4. 우연일 가능성
1. 품질과 재실험
초월명상만큼 풍부한 과학적 증거가 갖추어진 과학적 현상은 드뭅니다.
지난 40년 간 전 세계적으로 35개국에서 250개 이상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시행된 600회 이상 연구가 삶의 많은 영역에 미치는 초월명상법의 이로운 효과를 밝혔습니다.(대학 목록 참조) 이것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독립된 연구들에 의해 광범위한 효과가 밝혀졌다는 뜻입니다. 많은 경우 여러 상이한 연구들의 평균효과를 계산하는 메타분석 연구가 시행되었습니다. 이들 메타분석들이 여전히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다면, 그것은 효과에 더 큰 신뢰성을 부여하게 됩니다. 그런 메타분석이 고혈압(초월명상 연구 9회), 중독(초월명상 연구 19회), 불안(초월명상 연구 35회), 자아실현( 초월명상 연구 18회)에 대해 시행되었습니다. 각 경우 모두 초월명상의 효과는 지금까지 조사된 어떤 다른 방법들보다 현저히 커서 2배에서 8배에 이르렀습니다.
2. 600회 연구의 일반적 경향은 또 다음 사실을 보여준다.
– (외적 요인들이 결과에 영향을 덜 미치는) 고품질 연구일수록 초월명상의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 초월명상 단체와 연관이 없는 연구자가 시행한 연구가 제휴관계가 있는 연구자가 시행한 연구보다 훨씬 나은 결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초월명상 시행에 대해 기대가 낮은 실험참가자가 기대가 높은 참가자와 같은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또한 기대 효과는 보통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반면 이 결과는 시간이 감에 따라 확대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3. 과학 학술지 발표
초월명상 연구는 350개 이상 과학적 발표로 이어졌습니다.
과학학술지는 과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질이 낮은 연구로부터 과학을 보호하는 필터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그런 학술지에 발표될 경우에만 과학계가 그 연구를 심각하게 받아들입니다.
학술지가 연구 게재를 승인하기 전 그 연구 프로젝트는 ‘동료 과학자 검토’ 과정을 거칩니다. 이것은 동일 분야를 연구하는 다른 전문가들이 주의 깊게 검토합니다는 뜻이며, 그들은 그 연구가 모든 표준을 충족하고 충분히 높은 품질인지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합니다. 자신의 명성이 자신들이 출판하는 내용과 관련되기 때문에 권위 있는 학술지일수록 이런 과정이 더 철저합니다.
초월명상법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최고로 권위 있는 학술지들(학술지 목록 참조) )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160개 이상 서로 다른 전문 학술지들에 350회 이상 발표되어 출판되었습니다(발표논문 목록 참조). 이것은 단일 주제 논문으로는 예외적으로 높은 수입니다.
4. 우연의 가능성
초월명상 연구는 표준보다 50배에서 백만 배 더 작은 p값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원인과 결과를 결정하기가 쉽습니다. 인간과학에서는 사람들이 항상 많은 상이한 영향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것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이것이 결과가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우연에 의한 확률을 통계적으로 계산한 ‘개연성’이 모든 효과의 신뢰성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이유입니다. 일반적으로 ‘p-값’은 결과 그 자체보다 중요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논리적으로 보이는 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한 과학자가 누군가에게 약을 주고 그것을 먹으면 행복해 질 거라고 했습니다. 다음날 그 사람의 기분이 좀 좋아졌어도 그는 여전히 그런 상태를 유발한 것이 그 약이라고 확실히 말할 수는 없을겁니다. 그가 직장에서 승진을 했을 수도 있고, 사랑에 빠졌을 수도 있고, 플라시보 효과였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실험참가자 100명에게 그 약을 처방하고 100명 모두 약간 행복해졌다면(=통일된 효과), 그것이 우연일 확률은 훨씬 줄어들 것입니다. 만약 그 실험참가자 100명 모두 전에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는 행복을 느꼈다면(=큰 효과), 그것이 우연이 아닐 거라고 상당히 확실히 말할 수 있습니다.
과학적 표준에서는 결과가 우연이 아님을 과학자가 95% 확신할 수 있어야 하며, 그것은 p<.05로 표시되는데 개연성이 백분의 5보다 작다는 뜻입니다. 효과가 더 일관되고(=신뢰도가 더 높고) 더 강할수록 그것이 우연일 확률이 더 작아지며 P 값이 더 작아집니다. 고대 문헌은 초월을 지고한 인간 경험이자 완전한 인간 개발에 필수적이라고 묘사했습니다. 하지만 그곳에 이르는 길(명상)이 완전히 잘못 해석되었기 때문에 수 세기 동안 인류는 이 경험을 알지 못한 채 지냈습니다. 초월명상이 정말로 초월에 이르러 인간의 잠재력을 완전히 개발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재발견한 것이라면, 그것은 상당히 탁월한 결과를 보여주거나 이전에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결과를 보여줘야 합니다. 수많은 초월명상 연구에서 나타난 종종 표준보다 50배에서 백만 배 더 작은, 예외적으로 작은 p값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