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가 있을 때 뇌의 전전두엽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초월은 이 기능을 다시 가동한다. 뇌 기능에 대한 최근 발견을 통해서 우리는 이제 스트레스가 어떻게 뇌의 정상 기능을 방해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증가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뇌의 정상 기능
우리 눈 바로 위의 뇌 영역인 전전두엽은 ‘고차원적 사고’, 즉 장기 계획, 충동 억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결정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대부분 결정이 여기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부분은 가끔 총책임자, 또는 ‘뇌의 CEO”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전두엽은 인간과 동물을 구분 짓는 인간의 뇌 영역 중 하나이다.
뇌가 정상 기능을 할 때 정보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감각을 통해 들어온 정보가 전전두엽으로 보내지고, 그곳에서 내려진 결정은, 그에 해당하는 근육이 반응하도록 운동신경으로 보내진다.
스트레스 하의 뇌기능
스트레스가 있을 경우에는 정보의 흐름이 바뀐다. 정보는 전전두엽을 건너뛰고 감각에서 운동신경으로 곧바로 흐른다. 우리의 뇌가 이런 식으로 진화한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길을 건너고 있는데 차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것을 볼 때 우리는 따질 필요 없이 빨리 반응할 필요가 있다. 생각할 시간이 없다. 우리는 즉각적이고 충동적으로 그곳을 벗어나 뛰어야 한다. 이런 과정은 위협이 있을 때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다.
정서 안정이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음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지만, 오늘날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과학적으로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 스트레스는 정서 안정을 책임지는 뇌 부분인 전전두엽을 무력하게 만든다. (스트레스가 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충동성을 참조). 만성 스트레스는 두려움, 분노 등을 담당하는 뇌 부분인 편도체를 ‘켜짐’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초월은 전전두엽을 활성화한다.
초월은 스트레스와 상반된 효과가 있다. 이것은 실제로 전전두엽 활동을 증가한다.
초월은 신체가 가장 깊은 긴장을 제거하고, 전전두엽을 더 활성화하는 깊은 휴식 상태에 접어드는 상황이다. 이것은 뇌의 혈류를 측정하는 신경영상스캔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상의 활동은 줄어들어 신체 기능은 이완상태인 반면 전전두엽 활동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뇌의 이런 변화는, 초월명상 중 초월 경험에만 국한된 독특한 것이다. 대부분 다른 명상이나 이완법들은 이와 같은 변화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초월명상을 하는 도중, 전전두엽은 그냥 활성화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로 교란된 뇌의 다른 부분들과 조화를 회복한다. 이것은 EEG 통일성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면 초월 = 뇌의 완전한 개발 참조). 최근 연구에서는 정서 안정도가 EEG 통일성과 직접 관련이 있으며 거기에도 초월이 강한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초월 경험은 내적 평화와 정서적 평온이 증가하는 경험이다.
뇌에 미치는 초월의 영향은 스트레스의 영향과 반대이다. 초월은 뇌의 전전두엽 활동을 증가하고 시상을 항상 ‘켜짐’ 상태에서 해방한다. 우리가 이런 상태를 더 많이 경험할수록 뇌가 이런 경험에 더 익숙해질 것이고 따라서 정서는 더 안정이 된다.